본문 바로가기
부자 마인드

경제적 자유로 가는 3단계(feat. 보도 섀퍼의 돈)

by 굳리치 2020. 8. 1.
반응형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자유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한 번에 가기에는 너무 큰 목표이다.

그래서 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작은 목표가 필요하다.

'보도 섀퍼의 돈'이라는 책에서는 경제적 자유로 가기 위한 단계를 3개로 나누어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1단계 - 사고를 대비한 여유자금 마련

 

자신이 갑자기 병에 걸리거나, 직장에서 잘리는 등의 일로 수입이 끊기게 되었을 때를 대비한 여유자금을 마련하라는 것이다. 갑작스러운 사고를 당했을 때 경제적 어려움이 겹치게 되면 극복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설마 나에게 이런 일들이 일어나겠어?'라는 생각을 하며 대비를 전혀 안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누구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우선 수입이 끊겼다고 가정하고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최소 생활비용을 책정해보자.

나는 월 150만원을 책정하였다. 

수입이 끊긴 상황이 몇 달 동안이나 지속될지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6개월 이상의 여유자금이 있어야 불안감 없이 새로운 수입원을 찾을 수 있다.  자신이 새로운 수입원을 찾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 몇 개월 일지 생각해보자. 

만약 10개월정도가 필요하다면 내가 필요한 여유자금은 150만 원 x 10 = 1500만 원이다.

우선 이 최소한의 여유자금부터 모아야 안정감 있게 자기 일을 해나갈 수 있다. 

나는 이미 여유자금 이상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2단계 - 경제적 안정 확보

 

1단계를 통해 최소한의 안정장치를 만들어 놨지만 그건 말 그대로 '최소한'이다. 확실한 안정을 위해서는 이자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해야 한다.  우리가 위에서 책정한 최소 생활비용을 이자로 충당할 수 있어야 한다. 책에서는 이자를 8%로 계산하고 있다. 그때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최소 생활비용 x 150 = 필요한 자금'

나 같은 경우는 150만 원 x 150이므로 2억 2500만 원이 필요하다.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적은 금액이라서 놀랐다. 

역시 이자가 8%나 돼서 그런 것인가...(그런데 이자 8%는 어디서...?)

아무튼 난 2억 2500만 원만 있으면 이론상 일을 안 해도 되는 상황까지는 온 것이다.

이 상태를 '경제적 안정'이라고 한다. 우선 여기까지 왔다면 절반은 지나온 것이다.

 

 

3단계 - 경제적 자유 달성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자금이 필요할까? 그것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가 원하는 것들을 모두 적어보자. 

나는 집, 자동차, 여행 정도가 있다. 

큰 비용이 드는 것은 할부로 구입해야 하는데 할부금을 계산하기 위해서 집은 120 분할, 자동차 50 분할하라고 한다. 

나는 6억 정도의 집을 원하므로 매달 500만 원, 차는 5000만 원 정도를 원하므로 매달 100만 원이 나온다.

여행은 매년 600만 원 정도씩 지출할 생각이므로 12로 나누면 매달 50만 원이 나온다. 

이 모든 것을 더하면 650만 원이 나온다. 

여기서 생활비용을 더해야 하는데 이때는 최소 생활비용이 아닌 만족할 만한 생활비용을 적어야 할 것이다. 

나는 만족할 생활비용을 매달 350만 원으로 책정했다.  

그럼 650만 원과 350만 원을 더해 총 1000만 원이 나온다.

그럼 이 1000만 원을 아까와 같이 연이율 8%로 가정해서 필요한 자금 구하는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매달 필요 비용 x 150 = 필요한 자금'

나 같은 경우는 1000만원 x 150이므로 15억이라는 금액이 나온다.

당신도 각 단계별로 얼마가 필요할지 계산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그럼 막연했던 목표가 좀 더 구체화될 것이다.

 

다음 시간에는 각 단계별 투자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