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6

투자와 투기를 구분하자 돈에 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재테크 공부를 나름대로 하고, 투자를 해야겠다고 결심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투자와 투기를 구분할 수 있는가? 많은 사람들이 목돈을 가지고 어딘가에 넣어 놓고서는 투자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들이 실제로 하고 있는 것은 투자가 아닐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그들은 투자자가 아니라 예금자이거나 투기자인 경우가 많다. 목돈을 모아 은행에 예금한 사람에게 아무도 투자자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 사람은 단순히 예금자인 것이다. 그렇다면 투자와 투기는 어떻게 구분할까? 주식은 투자인가? 투기인가? 비트코인은 투기인가? 부동산 투자? 부동산 투기? 일반적으로 우리는 주식과 부동산에 대해서 투자라고 말하곤 한다. 주식 투기, 부동산 투기는 왠지 어색한 느낌이다. 비트코인은.. 2020. 7. 29.
쉬운 복리 계산법 "72의 법칙"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단리와 복리가 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A가 100만 원을 연 10% 단리로 예금을 했다고 하자. 그럼 5년 후에 받게 되는 돈은 얼마일까? 1년 후에는 100만원에 10%에 해당되는 10만 원에 이자가 붙어 110만 원이 될 것이다. 2년 후에도 원금 100만원에 10%에 해당되는 10만 원의 이자가 붙는다. 그러므로 총 120만 원이다. 즉 매년 10만 원의 이자가 붙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A는 5년 후에 150만 원을 받게 된다. 복리는 원금+이자에 대해서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이번에는 A가 연 10% 복리로 예금을 했다고 해보자. 그럼 5년 후에 받게 될 돈은 얼마인가? 1년 후에는 단리와 마찬가지로 100만 원의 10%인.. 2020. 7. 28.
부자가 되기 위한 여러가지 습관 부자는 단순히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다. 운 좋게 돈을 얻었다고 해도 일반적인 사람은 그것을 유지할 수가 없는 듯하다. 인터넷에서 로또에 당첨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로또에 당첨되서 여전히 잘 살고 있더라' 라는 얘기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다. 대부분은 몇 년안에 빈털터리 신세가 되었다는 얘기가 많다. 심지어는 로또에 당첨되기 전보다 못한 삶을 살고 있다는 얘기가 많다. 이런 얘기를 들은 나를 포함한 대부분은 이런 생각을 할 것이다. '저 사람들은 수십억의 당첨금을 받았는데 왜 빈털터리가 됐지?' '그냥 은행에 예금만해도 평생 먹고 살 수 있을텐데...' '나라면 안 저럴텐데...''저 말이 사실일까? 그냥 꾸며낸 이야기가 아닐까?' 등등 그런데 그 사람들이 우리들보다 바보라서 .. 2020. 7. 27.
종잣돈 만들 때 가장 수익률이 좋은 투자법 재테크를 시작하려면 종잣돈(시드머니)이 필요하다. 시드머니가 클수록 투자에 유리한 건 모두가 알 것이다. 예를 들어 A는 100만 원을 가지고 연 30%의 수익을 5년간 냈고, B는 1000만 원을 가지고 연 20%의 수익을 5년간 냈다고 가정해보자. 투자를 하기 전 A와 B는 900만 원의 격차가 있었다. 하지만 5년 후 A는 371만원을 가지게 되고, B는 2488만 원을 가지게 되어 격차는 2117만 원이 된다. 분명 A가 B보다 수익률이 10% 더 좋았는데 왜 격차는 점점 벌어지는 걸까? 그것은 시드머니가 B가 더 많았기 때문이다. 수익률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드머니도 엄청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같은 기간 안에 시드머니를 최대한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물론 시드머니를 .. 2020. 7. 25.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데 저축을 한다? 여러분은 금리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금리는 돈을 빌렸을 때 그에 대한 이자를 뜻하는데요. 심플하게 말하면 금리는 '돈의 가격'이고 더 심플하게 저는 '돈의 가치'라고 이해하고 있어요. 여기서 문제! 금리가 낮아지면 채권의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금리가 낮아진다는 것은 돈의 가치가 낮아진다는 것이므로, 돈으로 살 수 있는 모든 것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겠죠? 채권도 돈으로 살 수 있는 것 중에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금리가 낮아지면 채권의 가격은 올라가요. 참고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어요. 1년에 8번 결정하고, 현재 대한민국의 기준금리는 0.5%에요 역대 최저 수치이죠. 오늘 다룰 내용은 실질금리에 관한 것이에요. 실질금리란 무엇일까요? 식으로 나.. 2020. 7. 24.
경제적 자유를 위한 목표 설정 나는 자유에 대한 가치를 굉장히 높게 평가한다. 어릴 적부터 나의 최고 가치는 자유였다. 자유를 위해선 먼저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것은 필수이다. 경제적 자유란 무엇일까? 심플하게 말하자면 불로소득이 지출보다 많은 것이다. 어떤 사람이 매년 5000만 원의 불로 소득이 있는데 지출은 매년 3천만 원이라면 그 사람은 경제적 자유를 이룬 것이다. 일을 안 해도 평생 살아가는데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나는 경제적 자유를 위한 필요자금을 20억으로 정했다. 20억으로 매년 4%의 수익(부동산 월세든, 주식 배당금이든)을 내서 연 8000만 원의 불로소득을 창출하는 것이다. 나는 딱히 사치를 즐기는 편이 아니라서 1년에 8000만 원까지는 필요가 없겠지만 좀 여유 있게 정한 목표이다. 20억은 최종 목표이고 아직.. 2020.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