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적자유3

투자와 투기를 구분하자 돈에 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재테크 공부를 나름대로 하고, 투자를 해야겠다고 결심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투자와 투기를 구분할 수 있는가? 많은 사람들이 목돈을 가지고 어딘가에 넣어 놓고서는 투자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들이 실제로 하고 있는 것은 투자가 아닐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그들은 투자자가 아니라 예금자이거나 투기자인 경우가 많다. 목돈을 모아 은행에 예금한 사람에게 아무도 투자자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 사람은 단순히 예금자인 것이다. 그렇다면 투자와 투기는 어떻게 구분할까? 주식은 투자인가? 투기인가? 비트코인은 투기인가? 부동산 투자? 부동산 투기? 일반적으로 우리는 주식과 부동산에 대해서 투자라고 말하곤 한다. 주식 투기, 부동산 투기는 왠지 어색한 느낌이다. 비트코인은.. 2020. 7. 29.
쉬운 복리 계산법 "72의 법칙"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단리와 복리가 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A가 100만 원을 연 10% 단리로 예금을 했다고 하자. 그럼 5년 후에 받게 되는 돈은 얼마일까? 1년 후에는 100만원에 10%에 해당되는 10만 원에 이자가 붙어 110만 원이 될 것이다. 2년 후에도 원금 100만원에 10%에 해당되는 10만 원의 이자가 붙는다. 그러므로 총 120만 원이다. 즉 매년 10만 원의 이자가 붙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A는 5년 후에 150만 원을 받게 된다. 복리는 원금+이자에 대해서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이번에는 A가 연 10% 복리로 예금을 했다고 해보자. 그럼 5년 후에 받게 될 돈은 얼마인가? 1년 후에는 단리와 마찬가지로 100만 원의 10%인.. 2020. 7. 28.
부자가 되기 위한 여러가지 습관 부자는 단순히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다. 운 좋게 돈을 얻었다고 해도 일반적인 사람은 그것을 유지할 수가 없는 듯하다. 인터넷에서 로또에 당첨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로또에 당첨되서 여전히 잘 살고 있더라' 라는 얘기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다. 대부분은 몇 년안에 빈털터리 신세가 되었다는 얘기가 많다. 심지어는 로또에 당첨되기 전보다 못한 삶을 살고 있다는 얘기가 많다. 이런 얘기를 들은 나를 포함한 대부분은 이런 생각을 할 것이다. '저 사람들은 수십억의 당첨금을 받았는데 왜 빈털터리가 됐지?' '그냥 은행에 예금만해도 평생 먹고 살 수 있을텐데...' '나라면 안 저럴텐데...''저 말이 사실일까? 그냥 꾸며낸 이야기가 아닐까?' 등등 그런데 그 사람들이 우리들보다 바보라서 .. 2020. 7. 27.
반응형